스팀 다운로드 속도 느림, 정말 답이 없을 때 시도해 볼 마지막 방법 3가지



스팀 게임 다운로드, 왜 나만 이렇게 느린 걸까요? 남들은 쌩쌩 잘만 받던데… 인터넷 속도 문제인가 싶어 이것저것 다 해봤지만, 여전히 거북이걸음이라면 정말 답답하실 겁니다. 특히 ‘스팀 다운로드 속도 느림’을 검색하며 온갖 방법을 시도했지만 효과가 없었던 분들이라면 더욱 그럴 텐데요. 오늘, 그런 분들을 위해 정말 마지막이다 싶은 심정으로 시도해 볼 만한 3가지 방법을 준비했습니다. 이 방법들은 기본적인 캐시 삭제나 다운로드 지역 변경보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는 해결책이니, 차근차근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스팀 다운로드 속도 문제, 마지막 희망 3가지 요약

  • 첫째, ISP 기본 DNS 대신 빠르고 안정적인 공용 DNS로 변경하여 응답 속도를 개선합니다.
  • 둘째, 작업 관리자에서 스팀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높여 시스템 자원을 더 많이 할당받도록 합니다.
  • 셋째, 네트워크 어댑터의 고급 설정을 최적화하고, 필요한 경우 드라이버를 완전히 재설치하여 잠재적인 충돌을 해결합니다.

첫 번째 마지막 카드, DNS 설정 변경으로 응답 속도 최적화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웹사이트 주소(예: google.com)를 실제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것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DNS를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기본 DNS 서버가 항상 최적의 속도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네트워크 혼잡 시간대에는 응답이 느려지거나, 스팀의 특정 콘텐츠 서버로 연결하는 경로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공개 DNS, 예를 들어 구글 DNS (기본: 8.8.8.8, 보조: 8.8.4.4) 또는 클라우드플레어 DNS (기본: 1.1.1.1, 보조: 1.0.0.1) 등으로 변경하면 다운로드 속도 단위 (MB/s 또는 Mbps)가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DNS 변경은 네트워크 설정에서 수동으로 IP 주소 및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현재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를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DNS 변경 방법 (윈도우 기준)

  1.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이동합니다.
  2.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이더넷 또는 Wi-Fi)를 클릭합니다.
  3. 속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선택하고 속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5.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을 선택하고 원하는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변경 후에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flushdns` 명령어를 실행하여 기존 DNS 캐시를 삭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핑 테스트를 통해 변경된 DNS의 응답 속도를 확인해볼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 마지막 카드, 작업 관리자를 이용한 스팀 프로세스 우선순위 조정

컴퓨터는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각 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CPU, RAM, 디스크 등)을 나눠 사용합니다. 스팀 다운로드 속도가 느릴 때, 다른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들이 과도하게 시스템 리소스를 점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작업 관리자를 통해 스팀 관련 프로세스(Steam.exe, steamwebhelper.exe 등)의 우선순위를 ‘높음’으로 설정하면, 운영체제가 스팀에 더 많은 CPU 시간을 할당하여 다운로드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실시간’ 우선순위는 시스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으니 가급적 ‘높음’까지만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 방법은 CPU 사용량이나 RAM 점유율, 디스크 사용량이 높은 상황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스팀 클라이언트 자체 설정에서 스트리밍 중 다운로드 제한 같은 옵션이 켜져 있는지도 확인해보세요.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방법

  1. Ctrl + Shift + Esc 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2. 세부 정보 탭으로 이동합니다.
  3. 실행 중인 Steam.exe 또는 관련 프로세스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우선순위 설정 메뉴에서 ‘높음’을 선택합니다.

이와 함께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종료, 클라우드 동기화 중지, P2P 프로그램 중지 등을 병행하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마지막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최적화 및 드라이버 재설치

네트워크 어댑터는 인터넷 연결의 핵심 부품이지만, 때로는 설정 오류나 드라이버 충돌로 인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트북의 경우 전원 관리 옵션에서 네트워크 어댑터의 절전 기능이 활성화되어 속도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으로 들어가 고급 탭의 설정들을 확인하고, 불필요한 기능(예: Green Ethernet, Energy Efficient Ethernet 등)을 비활성화하거나 전원 관리 탭에서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옵션을 해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 환경보다는 안정적인 유선 랜 연결이 다운로드 속도에 유리하며, 공유기 설정에서 QoS(Quality of Service) 기능을 통해 스팀 트래픽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라우터 재부팅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이러한 설정 변경으로도 효과가 없다면, 네트워크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완전히 삭제 후 재설치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의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거나, 현재 드라이버를 장치 관리자에서 제거(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삭제 옵션 체크)한 후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윈도우가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재설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점검해볼 만한 네트워크 어댑터 고급 설정 항목

설정 항목 권장 값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
Speed & Duplex (속도 및 이중) Auto Negotiation (자동 협상) 또는 사용 환경에 맞는 최고 속도 (예: 1.0 Gbps Full Duplex)
Receive Buffers (수신 버퍼) 기본값 또는 약간 높게 설정 (과도하게 높이면 RAM 점유율 증가)
Transmit Buffers (송신 버퍼) 기본값 또는 약간 높게 설정
Jumbo Frame (점보 프레임) Disabled (일반 가정 환경에서는 비활성화 권장)

이 외에도 방화벽 설정이나 백신 프로그램 예외 처리를 통해 스팀의 네트워크 접근을 원활하게 하고, 윈도우 업데이트가 백그라운드에서 대역폭을 소모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스팀 클라이언트 자체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저장 공간 확인 및 하드 드라이브 조각 모음 (HDD 사용자) 또는 SSD 사용 여부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정녕 해결되지 않는다면 ISP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문의를 통해 회선 점검을 요청하거나, 네트워크 혼잡 시간대를 피해 다운로드를 시도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게임 파일 무결성 검사나 스팀 서버 상태 확인도 기본적인 점검 사항입니다.

위 세 가지 방법은 스팀 다운로드 속도 느림 문제 해결을 위한 다소 고급 설정에 해당합니다.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효과를 보장하지는 않지만, 다른 일반적인 방법을 모두 시도해본 후에도 개선이 없다면 한 번쯤 시도해볼 가치가 있습니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시스템 리소스나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부디 이 팁들이 답답했던 스팀 다운로드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